북촌마을 해안길
출발지점영상

주차장
주차장

추천화장실
추천화장실

일반화장실(남녀구분)
일반화장실(남녀구분)

관광지 설명

DSC06059.JPG

북촌은 제주시 조천읍 동쪽 끝에 자리 잡은 해안마을이다. 포구를 중심으로 '본동', 서쪽에 서우봉과 접한 '해동', 남쪽 선흘리 방향 중산간에 '억수동' 이 있으며, 그리고 1990년대에 '한사동'이 새로 조성되어 지금은 4개의 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북촌마을 해안길은 주요 마을인 해동과 본동이 있는 북촌포구까지 이어진 길을 탐방하는 코스로  북촌 4.3길과 올레 19코스가  겹치는 구간이기도 하다.  북촌마을은  전형적인  어촌 마을처럼 보이지만  반농. 반어 형태의 생활을 하는 마을이다.  산책 중에 만나는 방어시설물인 환해장성을 배경으로 사진 한 장 남기고,  환해장성과  맞 닫은  바닷속  친구들을  감상하다 보면 어느새  북촌포구에  도착한다.

▣ 전체코스 (총 1.5km)
1. 출발/해동포구 -> 2. 해동 경로당 -> 3. 검섯개물 -> 4. 방파제 (돌다리) -> 5. 서우봉 전망 정자 -> 6. 환해장성 -> 7. 본동마을 (정짓물) -> 8. 북촌교회 -> 9. 북촌등명대 -> 10. 북촌포구

※ 해당 추천코스는 휠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추천코스와 코스 진행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보행약자 접근성 정보

DSC06081.JPG


북촌마을 해안길은 해동마을과 본동마을을 이어주는 작은 길로 마을과 바다가 가까이 있어 풍경이 아름다운 마을 해안길이다. 북촌마을 해안길은 대부분 편평한 길로 되어 있지만 일부 구간 오르막(내리막)이 있다. 북촌마을 해안길의 전체 코스 종점은 북촌포구이며, 포구로 가려면 약 90m 정도 9~12도의 오르막길로 수동 휠체어 이용인의 경우 어려움이 있어 이동 지원이 필요하다.

▣ 보행약자 추천코스 (총 1.2km)
1. 출발/해동포구 -> 2. 해동 경로당 -> 3. 검섯개물 -> 4. 방파제(돌다리) -> 5. 서우봉 전망 정자 -> 6. 환해장성 -> 7. 본동마을 (정짓물) -> 8. 주차장 -> 9. 북촌포구

※ 해당 추천코스는 휠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추천코스와 코스 진행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용안내

  • 휴무일 : 연중무휴
  • 관람시간 : 09:00~22:00 (입장마감21:20)
  • 관람료 : 성인 2,000원 (단체 1,600원), 청소년, 군경, 어린이 1,000원 (600원)
  • ※ 단체 10인 이상, 경로(만 65세 이상) 무료, 장애인(1급~3급) 동행인 1인 포함 무료, 장애인(4급~6급) 본인 무료
  • 보조기기 대여 및 편의장비 : 수동휠체어 6대, 자동심장충격기 2대, 전동휠체어 급속충전기 1대
  • 장애인 주차구역 : 있음
  •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 : 있음
  • 해설사 : 없음
  • 전화번호: 064-733-1528
  • 주 소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천지동 667-7

여행정보

DSC09544.JPG

1. 주차장-1 (해동포구)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1490

시작점인 해동포구 내 주차장은 없으나 공터가 있어서 주차가 가능하다. 

DSC09503.JPG

2. 주차장-2 (북촌포구)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 1363-4

종점인 북촌포구 주차장에는 장애인 주차 구역은 없다.

DSC09383.JPG

3. 접근로&시작점


해동포구에서 보이는 정자 우측으로 마을 골목길이 시작된다. 초록색의 북촌 4.3길 표지판이 눈에 들어오게 되며, 이 표지판을 보면서 이동한다.

DSC06084.JPG

4. 해동마을


함덕 서우봉 끝자락에 있는 해동포구가 있는 해동마을은 북촌리 설촌의 원류이며 현재 북촌리 7개 자연부락 중 한 취락으로, 옛 지명은 ‘허댕이’었으나  ‘비췻빛 영롱이는 바다마을’이라 하여 그 의미를 담아 해동(海洞)이라 지어진 마을이다.

DSC09389.JPG

5. 퐁낭


해동마을의 아름다운 마을 길을 걷다 보면 좌측 언덕에 퐁낭이 있고 우측으로 가면 해동 경로당과 화장실이 있다. 해동경로당 앞 길을 지나 좌측으로 이동하면 해동상점이 있다. ‘해동상점’에서 ‘오시오펜션’으로 가는 구간에 길이 35m, 8도의 오르막(내리막)이 있어 수동휠체어 이용인 경우 이동 지원이 필요하다.

DSC09394.JPG

6. 해동상점


산책 중에 만나는 해동마을의 옛 상점을 볼 수 있다. 해동상점 간판에는 아직도 두 자리 국번의 전화번호가 적혀 있다.

SSH_5621.JPG

7. 북촌마을 해안길


기념물로 지정된 환해장성과 제주 4.3의 아픔을 생각하며 제주바다가 보이는 마을길을 걸어보자.

24714881.사진2.043658.jpg

8. 검섯개물 (용천수)


검섯개물은 북촌서길 북촌리의 검섯개에 있는 용천수로, 서모오름 동쪽 동네인 ‘해동(옛 이름 해뎅이)”의 식수였다. 해수면 아래 바다 바닥이 용암으로 덮여 있어 검게 보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용천수로 가는 긹은 시멘트로 포장이 잘 된 길이나 폭이 좁아서 되돌아 나올 때 주의가 필요하다. 용천수 내부로 가는 방법은 계단으로 되어 있다.

DSC09423.JPG

9. 북촌 환해장성


마을 해안길 산책에서 만나는 환해장성은 평범한 돌담처럼 보이지만 해안 방어시설로 지어진 장성이다. 세월이 흘러 지금은 짧게 남아 있는 환해장성이지만 파란 하늘과 환해장성이 보여주는 콜라보는 이 마을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볼거리와 멋진 사진을 남길 수 있는 곳이다.

SSH_5640.JPG

10. 본동 마을


북촌포구 중심인 본동마을은 북촌바다를 중심으로 반원을 그릴 수 있는 지역이어서 바다를 중심으로 한 해산물 채취나 어업을 하면서 농경생활을 해 온 마을이다. 환해장성를 지나 북촌포구로 가는 길은 올레19코스와 정짓물(용천수)로 가는 방향이 두 곳으로 갈린다. 이곳에서 북촌포구로 가는 길은 높은 경사(9~12도, 약 90m) 오르막(내리막)이 있어 수동휠체어 이용인은 정짓물까지다.

 
SSH_5692.JPG

11. 가릿당 (구짓머루당)가는 길 표지판 


북촌마을의 본향당이다. 구짓머루당이라고도 불린다. 기와집으로 조성된 제장의 당신은 ‘구짓머루 노름한집’이고, 밖의 자연석으로 제장이 조성된 곳의 당신은 ‘구짓머루용녀부인’이다. 이 신들은 북촌마을 사람들의 삶과 죽음, 호적과 피부병, 육아, 해녀, 어선 등을 관장한다.

SAM_4486.JPG

12. 올레19코스 길 & 가릿당 가는 길


본동마을 입구 좌측(올레19코스 길)에는 길이 19m, 10도의 오르막(내리막) 길로 되어 있으며, 바닥이 고르지 않은 자갈길로 되어 있다. 휠체어 이용인의 경우 우측 길, 정짓물(용천수) 있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

DSC09437.JPG

13. 정짓물(용천수)


제주도 지역 대수층을 따라 흐르는 지하수가 암석이나 지층의 틈새를 통해 지표로 솟아나는 물이다. 제주사람들은 ‘산물’이라 하고 우리말로 ‘샘’이라고 하는데, 옛날 이 마을에 식용수로 사용되었다.

DSC09485.JPG

15. 북촌 등명대


북촌 등명대는 구짓모루 동산에 세워진 등대이다. 제주의 재래식 등대로 호롱불 혹은 나뭇가지를 재료로 사용했으며, 특히 제주에는 예로부터 소나무들이 많아 관솔을 많이 사용했다. 이곳 북촌 등명대는 제주 4.3의 아픔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곳으로 탄환에 맞은 자국이 아직도 남아 있다. 삼거리를 지나 정짓물(용천수)까지는 평지로 되어 있어 수동 휠체어 이용인 경우 이곳에서 다시 시작점(해동포구)로 역방향 산책을 추천한다.

DSC09531.JPG

16. 북촌포구


북촌마을 해안길의 끝나는 지점 북촌포구이다. 여느 포구와는 다르게 아치형 다리가 있어 더욱 운치 있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정짓물(용천수)를 지나 북촌포구까지 얼마 안 되는 거리지만 마을 담벼락에 벽화가 그려져 있고, 방파제 앞 정자 주변에 말리고 있는 우뭇가사리와 해녀들을 볼 수 있어 새삼  이곳이 제주임을 실감케 한다. 아치형 다리는 계단으로 되어 있다.

DSC00659.JPG

17. 다려도 (조망)


다려도는 북쪽 약 400여 m 떨어진 거리에 있는 무인도이다. 여러 개의 바위섬으로 이루어진 다려도는 물개를 닮았다 하여 다려도라 하고, 풍부한 해산물을 제공해 주는 보물섬으로 여기고 있다. 수련한 경관과 해산물, 물고기가 풍부하여 낚시터로도 유명하다.

 

추천 장애인 화장실 (남녀구분)
- 너븐숭이 4·3 기념관 내

DSC02091.JPG DSC02105.JPG

일반화장실 1 (남녀구분)
- 해동경로당 옆

* 해동경로당 화장실은 계단4개로 되어 있다.

DSC06093.JPG 2-1-3.JPG

일반화장실 2 (남녀구분)
- 북촌포구 열린화장실

* 북촌포구 열린화장실은 낮은 계단 2개로 되어 있으며, 남녀 변기에 안전 손잡이가 설치 되어 있다.

14-1.JPG 2-1-3.JPG

주행제한 안내

  • * 본 관광지내에서 자전거와 킥보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