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귀도 엉알해변
출발지점영상

계단
계단

주차장
주차장

장애인화장실(남녀구분)
장애인화장실(남녀구분)

일반화장실(남녀구분)
일반화장실(남녀구분)

관광지 (실외)
관광지 (실외)

관광지 설명

DSC07764.JPG

 ‘엉알’이란 벼랑, 절벽 등을 뜻하는 제주어 '엉'과 아래쪽을 이르는 '알'이 합쳐진 말로 '벼랑 아래 있는 길'을 의미한다. 엉알 해안 산책로는 수월봉 밑에서부터 해안선을 따라 1km가량 길게 이어지는 해안지대이다. 바닷길을 따라가다 보면 차귀도가 보이고 일제 강점기 만들어진 진지동굴도 저 멀리 볼 수 있다.엉알 해안 끝자락에서 바라보는 차귀도의 낙조는 ‘황홀하다’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릴 것이다. 올레길 12코스에 속해있고 휠체어 올레길이기도 하다.

▣ 전체코스 (총 편도1km)
1. 출발(주차장) -> 2. 주출입구(해녀상과 공연장) -> 3. 엉알해안길 -> 4. 녹고의 눈물(동생의눈물) -> 5. 용운천 -> 6. 수월봉 갱도진지 -> 7. 수월봉 화산재지층과 화산탄

※ 해당 추천코스는 휠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추천코스와 코스 진행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보행약자 접근성 정보

DSC07778.JPG

무척이나 아름다운 해안 절경이 가도가도 끝이 안보이는 이 곳은 시멘트로 잘 포장이 된 길을 이용한다. 완만한 경사로가 나오지만 풍경에 취하다 보면 힘들지 않다. 반환점에 다다를 때쯤 만나는 경사로는 13도의 급 경사로로 휠체어 이용인은 이곳을 오르지 않고 되돌아 가는 것을 추천한다. 해안절벽 옆은 낙석에 노출될 수 있으니 주의하도록 하자.

▣ 보행약자 추천코스 (총 1.3km)
1. 출발(주차장) -> 2. 주출입구(해녀상과 공연장) -> 3. 엉알해안길 -> 4. 녹고의 눈물(동생의눈물) -> 5. 용운천 -> 6. 수월봉 갱도진지

※ 해당 추천코스는 휠내비게이션이 안내하는 추천코스와 코스 진행순서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용안내

  • 휴무일 : 연중무휴
  • 관람시간 : 제한 없음 (일몰 이후 안전사고 주의)
  • 관람료 : 무료
  • 보조기기 대여 및 편의장비 : 없음
  • 장애인 주차구역 : 없음(공터 이용)
  •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 : 없음
  • 해설사 : 없음
  • 전 화 : 064-772-3334 (수월봉 지질트레일 탐방안내소)
  • 주 소 :  제주시 한경면 고산리 3653-3

여행정보

DSC07733.JPG

1. 주차장
DSC07734.JPG

2. 접근로(해녀상과 공연장)

양갈래길이지만 왼쪽은 정낭으로 막힌 길이므로, 오른쪽 해안을 따라 시멘트 포장길을 이용한다. 
DSC07777.JPG

3. 엉알해안길


해안절벽을 따라 만들어진 해안길은 제주에서도 으뜸인 풍광이다.  화산쇄설암층에서 다양한 화산 퇴적구조가 관찰되어 화산학 연구의 교과서 역할을 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낙석과 전기바이크 이동이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접근성: 낙석 및 전기바이크 주의가 필요한 구간이다.

DSC07761.JPG

4. 녹고의 눈물


수월봉에는 안타까운 남매의 전설이 있다. 어머니의 병환 치유를 위해 오갈피를 찾아 수월봉의 절벽을 오르다 누이가 떨어져 죽은 전설이다. 이에 동생은 한없이 눈물을 흘리다 같이 죽고 만다. 이 후 사람들이 이 절벽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동생 이름을 따라 녹고의 눈물이라고 한다.

DSC07766.JPG

5. 용운천(용천수)


'용운천'이라는 샘터지만 현재는 식수로 이용되지 않고 있다.

DSC05791.JPG

6. 수월봉 갱도진지


수월봉의 갱도진지는 일제강점기 시절에 지어졌으며,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군은 수월봉뿐만 아니라 제주도 전역에 수많은 군사시설을 만들었다. 수월봉 해안은 미군이 제주도 서쪽 끝 고산지역으로 진입할 경우 갱도에서 바다로 직접 발진하여 공격하는 일본군 자살 특공용 보트와 탄약이 보관되어 있던 곳이다.

DSC09720.jpg

7. 수월봉 화산재지층과 화산탄


반화점 끝에 있는 곳으로 화산재 지층과 화산탄의 모습을 보다 가까이서 볼 수 있으며, 이곳은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휠체어는 접근이 불가한 구간이다.





장애인 화장실
- 자구내포구 앞(남녀구분)

* 엉알해변 코스 내 장애인 화장실이 없어, 자구내포구 앞 화장실을 추천한다.

_SAM3487.JPG


20180719_143547.jpg

일반화장실

일반화장실1
- 해녀상과 공연장 옆(남녀구분)

일반화장실2
- 엉알해안길 갱도진지 옆(남녀구분)

DSC05813.JPG _SAM3582.JPG

주행제한 안내

  • * 본 관광지내에서 자전거와 킥보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