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문화공원
출발지점영상

장애인 주차장
장애인 주차장

주차장
주차장

매표소
매표소

검표소
검표소

장애인화장실(남녀구분)
장애인화장실(남녀구분)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휠체어유모차대여
휠체어유모차대여

기념품샵
기념품샵

카페
카페

시설물 VR파노라마 보기

편의시설

DSC01865.JPG

돌하르방 카페

DSC01894.JPG

오백장군호(전기차)
운영시간: 09:30~17:00 (20분소요)
DSC01987.JPG

뮤지엄샵

관광지 설명

DSC01902.JPG

돌문화공원은 입구부터 어마어마한 돌들이 줄지어 반겨준다. 제주도의 모든 석상을 다 전시해 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의 규모로 공원 전체가 제주도 탄생 신화인 설문대할망과 오백 장군을 테마로 조성되어 있다. 그야말로 제주의 신화와 역사, 삶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크게 실내 전시관과 야외전시장으로 나뉜다. 실내 전시관은 주 전시관인 '제주 돌 박물관'을 비롯하여 '돌 문화 전시관' '설문대할망 전시관', '오백장군 갤러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외전시장은 '제주 전통 초가', '제주 전통 마을 재현 공간', '돌 문화 야외전시공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돌문화공원은 규모가 워낙 커서 여유로운 일정으로 둘러보는 것이 좋다. 돌을 쌓아 만들어 놓은 성곽의 형태를 따라 나지막한 오르막길을 올라가면 주변 전망이 시원한 돌 문화공원 입구에 다다르게 된다. 박물관을 지하에 만든 특별한 이유는 자연환경과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기 위해서이다. 전동 휠체어와 수동휠체어 모두 대여가 가능하며 곳곳의 오르막과 자갈길만 잘 주의하면 관람하는 데에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 전체코스 (총 4.2km)
1. 주차장-> 2. 매표소-> 3. 전설의통로-> 하늘연못-> 제주돌박물관 -> 신석기시대 유적-> 제주돌문화전시관-> 조선시대의돌문화 -> 고려시대의 돌문화 -> 제주의민간신앙 -> 제주의동자석 -> 하트조형물 -> 돌한마을제주전통초가마을 -> 돌하르방 -> 죽솥을상징한 연못 -> 어머니를 그리는 선돌 ->오백장군 갤러기-> 오백장군 군산과 상징탑 -> 어머니의방 -> 오백장군전동차타는곳-> 주차장

보행약자 접근성 정보

DSC01912.JPG


제주 돌문화공원은 코스가 길고 노면이 평탄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 휠체어 이용인은 이동지원이 필요하며, 5개소 주차장 중 2번 주차장이 매표소까지 이동 거리가 100m 용이하다. 제주돌문화공원은 1~3코스로 되어있으나, 2코스와 3코스는 바닥 면이 돌길, 흙 길 오르막(내리막) 경사가 이어져 접근성의 어려움이 있어 1코스(신화의 정원) 기준으로 휠체어 이용인 코스로 제안한다.

▣ 보행약자 추천코스 (총 1.8km)
1. 주차장-> 매표소-> 전설의통로-> 하늘연못-> 제주돌박물관 -> 신석기시대 유적->하트조형물 -> 돌한마을제주전통초가마을 -> 돌하르방 -> 죽솥을상징한 연못 -> 어머니를 그리는 선돌 ->오백장군 갤러기-> 오백장군 군산과 상징탑 -> 어머니의방 -> 오백장군전동차타는곳-> 주차장

이용안내


  • 휴무일 : 매월 첫째 주 월요일 휴무
  • 관람시간 : 09:00~18:00 (1시간 전 발권 및 입장마감)
  • 관람료 : 성인 5,000원(단체 4,000원) / 청소년, 군경 3,500원(단체 2,800원)
  • - 장애인, 어린이, 경로, 국가유공자 무료
  • - 복지카드할인은 중증 또는 1~3급, 본인 및 동반 1인 무료
  • - 단체 10인 이상
  • - 경로(만 65세 이상), 어린이(만 12세 이하)
  • - 단체 10인 이상, 경로(만 65세 이상) 무료, 장애인(1급~3급) 동행인 1인 포함 무료, 장애인(4급~6급) 본인 무료
  • 보조기기 대여 및 편의장비 : 수동휠체어 4대, 전동휠체어 3대, 유아차 5대, 자동심장충격기 1대, 시각장애인용 오디오 음성기(대여시간 3시간), 바코드 활용한 음성 안내기로 동행인 지원 필요
  • 장애인 주차구역 : 있음
  •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 : 있음
  • 해설사 : 없음
  • 전화번호: 064-710-7731
  • 주 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2023번지
  • 홈페이지: www.jeju.go.kr/jejustonepark/index.htm

여행정보

DSC01866.JPG

1. 주차장

주차장 면적이 넓어 3 개소 주차장으 로 나눠져 있으며, 대형버스주차장 1 주차장, 장애인주차장 2 주차장,소형3 주차장으로 되어있다. 제2주차장 장애인 주차 구역이 있고 매표소와 가깝다.

DSC01872.JPG

2. 매표소
DSC01903.JPG

3. 전설의통로 & 물장오리를 상징한 연못

전설의 통로와 숲길을 지나면 주변 환경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물장오리를 상징한 연못이 나온다.

DSC01907.JPG

4.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상징탑

설문대할망은 제주도를 만들었다고 전해지는 여신이다. 오백장군은 설문대할망의 500명의 자식들이다.

KakaoTalk_20220623_171935211_07.jpg

5. 하늘연못

한라산, 백록담, 영상의 죽 솥 물장오리를 상징하는 돌 박물관 옥상에 설계된 지름 40M, 원둘레 125M의 대형 연못이다.

DSC01928.JPG

6. 제주돌박물관

(용암구/영상실/제주두상석/암석,수석전시실)

제주의 형성과정과 화산활동, 희귀한 제주 화산 석을 감상할 수 있는 박물관으로 하늘연못길 이후 좌측으로 길이 50M 내리막(오르막)길이 이어진다.화살표 방향으로 관람하면 된다.

DSC01960.JPG

7. 돌하르방

돌하르방은 제주도에서 마을 입구에 세워 수호신 구실을 하는 장승이다.

DSC01967.JPG

8. 어머니를 그리는 선돌
DSC01962.JPG

9. 죽 솥을 상징하는 연못

설문대할망이 오백명의 아들들을 위해 죽을 끓이다 실수로 빠져 죽어버린 죽 솥을 상징하는 연못이다.

DSC02014.JPG

10. 오백장군 갤러리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5호 초록나무뿌리 형상 물과 국내외 예술작품 을 감상할 수 있는 갤러리이다.

DSC01973.JPG

11. 오백장군 군상 (상징탑)

설문대 할망과 그 아들인 오백장군 설화로 엮은 각종 돌 조형물들을 볼 수 있다.

DSC01978.JPG

12. 어머니의 방

어머니의 방에는 진귀한 용암석 하나가 설치되어 있다. 설문대할망 형상을한 돌인데 설문대할망이 아들을 안고 서 있는 듯한 모습으로 모성애를 연상

시키는 작품이다. 어머니의 방 바닥 면이 고르지 못해 휠체어 진입은 어렵다.

DSC01988.JPG

13. 2코스 진입로
DSC01995.JPG

14. 선사·탐라시대의 돌문화
(제주 돌문화전시관/조선시대의돌문화/고려시대의돌문화)

제주 돌 문화를 기능별로 초 가형 전시동에 전시하고 있다. 노면이 송이 자갈길과 숲길로 이어져 휠체어 이용인은 접근이 어렵다.

DSC01999.JPG

15. 2~3코스 진입로
DSC02009.JPG

16. 제주전통초가마을

지금은 거의 사라져 버린 제주의 옛 마을을 본 따서 남쪽 부지에 오름과 곶자왈, 그리고 너른 초지에 아늑하게 둘러싸여 있어 전통 마을의 분위기를 물씬 풍기고 있는 돌이 많은 ‘돌 한 마을’ 이다. 노면이 화산송이와 자갈로 되어있어 휠체어 이용인은 동반인의 지원이 필요한 구간이다.




장애인화장실1 (남녀구분)
- 매표소 옆

DSC01868.JPG _SAM5848.JPG

장애인화장실 2 (남녀구분)
- 제주돌박물관 경사로 내려와서 입구 왼쪽

_SAM5895.JPG _SAM5899.JPG

장애인화장실 3 (남녀구분)
-  제주돌박물관 1층 엘리베이터 우측

그림5.jpg 그림6.jpg

장애인화장실 4 (남녀구분)
- 제주돌박물관 1층 돌갤러리 맞은편

그림10.jpg 그림11.jpg

장애인화장실 5 (남녀구분)
- 제주돌박물관 1층 출구 엘리베이터 맞은편

그림12.jpg 그림13.jpg

장애인화장실 6 (남녀구분)
- 제주돌박물관 1층 나가서 좌측

그림14.jpg 그림15.jpg

장애인화장실 7 (남녀구분)
- 2코스 진입후, 우측 (화장실 입구 단차 10cm)

그림16.jpg 그림17.jpg

장애인화장실 8 (남녀구분)
- 3코스 진입후, 우측 (화장실 입구 단차 10cm)

그림18.jpg 그림19.jpg

장애인화장실 2 (남녀구분)
- 오백장군갤러리 정문 안내센터 오른쪽 2층

그림20.jpg 그림21.jpg

주행제한 안내

  • * 본 관광지내에서 자전거와 킥보드는 이용할 수 없습니다.